검정고시No.1 검스타트

검정고시No.1 검스타트

검정고시No.1 검정고시No.1
검정고시생 대학입시정보

[입시일반] 2024학년도 대입전형의 이해 - 2. 수능 개편 및 통합형 수능(출제 범위)

0

「2022학년도 대학입학제도 개편방안 및 고교교육 혁신 방향」(2018.08.17) 은 2022학년도부터 시작하여 

 

2023학년도를 거쳐 2024~2025학년도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구체적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과 통합형 수능에 따른 변화

dc8aa957f907cba39898c8f78c252ff3_1672194709_6705.png

2022학년도부터 수능시험의 국어와 수학 영역에서 ‘공통과목+선택과목’의 구조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국어 영역은 ‘독서’와 ‘문학’을 공통과목으로 하고, ‘언어와 매체’와 ‘화법과 작문’ 중 1과목을 선택하게 되었으며, 

 

수학 영역은 ‘수학Ⅰ’과 ‘수학Ⅱ’를 공통과목으로 하고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중 1과목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개편에 따라 학생들은 자신이 선택한 과목의 점수 부여 방식이 선택과목을 함께 선택한 집단의 공통과목 평균 점수에 의해 조정되기 때문에

 

선택과목 집단의 성격에 따라 유·불리가 발생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dc8aa957f907cba39898c8f78c252ff3_1672194729_6264.png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똑같이 원점수 100점을 획득 하더라도 선택과목에 따라 부여되는 표준점수에 차이가 있습니다.

 

차이가 적을 때는 국어의 경우 2점, 많을 때는 6점까지 벌어지기도 했으며, 수학 역시 선택과목에 따라 3~8점까지 차이가 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2 수능에서는 두 과목 모두 차이가 가장 적게 났지만, 2022학년도 3월 모평에서는 다시 차이가 더 벌어졌습니다. 

 

대학에서 선택과목을 제한하는 경우가 있는데, 주요 대학의 자연 계열은 ‘미적분’이나 ‘기하’ 중 1과목을 선택하도록 지정하고 있기 때문에

 

‘확률과 통계’를 선택할 경우에는 지원이 불가합니다.

 

이는 2021학년도까지 주요 대학의 자연 계열이 수학(가)형을 지정했던 것과 같은 맥락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사회/과학탐구영역은 사회(9과목), 과학(8과목)을 합한 17개 과목 중에서 2과목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직업탐구영역은 ‘성공적인 직업생활’을 공통으로 하고, 그 외 5과목 중에서 1과목을 선택하여 시험을 치르게 됩니다.

 

그러나 사회/과학탐구영역에서의 과목 선택은 사실 이전과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주요 대학의 자연 계열은 과학 2과목을 필수로 지정하고 있기 때문에 사회과목을 선택 하게 되면 지원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집니다.

dc8aa957f907cba39898c8f78c252ff3_1672194747_289.png

또한 제2외국어/한문 영역을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전환됨에 따라 일부 대학에서 사탐 대체 과목으로도 활용되던

 

제2 외국어/한문 영역의 응시자 수는 많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 자료출처 : 메가스터디교육그룹 진료진학연구소 마이진로 > 

0 Comments